울산 아이문화패스 10만원 신청 방법, 사용처, 사용 기간

 울산 아이문화패스는 울산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아이가 문화생활하는 데 사용하도록 울산시에서 지원하는 바우처 카드입니다. 아이문화패스를 발급 받았지만 어디에 사용할 수 있는지 제일 논란인 것 같더라고요. 신청 방법, 사용처, 사용 기간 등 아래에서 확인해 보세요.


울산 아이문화패스

아이문화패스와 와글와글 실내동물원 입장권을 손에 든 사진


2025년 6월 1일부터 신청 사이트 또는 각 주민센터에 가서 신청하면 카드 형태로 발급 받는 문화 바우처 카드입니다.


신청대상

전 출퇴근 하면서 지나치는 주민센터 밖 플래카드에 적힌 걸 보고 알았는데요. 보통 이런 사업은 한부모 가정, 차상위 가정, 다문화 가정 등에 지원되는 사업이라고 생각해서 무심코 지나쳤었습니다. 그런데 알고 보니 울산시를 주소로 둔 모든 초등학생에게 지원되는 사업이더라고요.

주민등록상 울산이 거주지로 되어 있는 7세~12세 아이라면 누구나 발급 받을 수 있는데 정확히는 초등학생 1학년부터 6학년까지라고 보는 게 맞더라고요.

생일이 지나지 않아 만 12세이지만 중학생이라면 발급이 되지 않는다고 적혀 있었거든요.

지원금 및 사용 기한

전 12월 31일까지라고 기억하고 있었는데 이 포스팅을 하면서 다시 확인해 보니 12월 20일까지라고 되어 있습니다.

올해 받은 아이문화패스는 2025년 12월 20일까지 모두 소진해야 하고, 사용하지 않은 금액은 환불이나 이월되지 않고 다시 울산시로 귀속됩니다.

내년에는 내년 것을 다시 신청해야 하는 것이죠.

아이문화패스 발급 신청하기

아이문화패스는 2가지 방법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바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신청인데요.
컴퓨터나 휴대폰 사용이 편한 분이라면 울산아이문화패스 공식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신청하면 되고, 오프라인 신청이 편하다면 관할 주민센터에 방문하셔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전 컴퓨터로 신청했으니 컴퓨터 화면을 예로 설명해 드릴게요.
휴대폰으로 신청하는 방법도 화면 크기와 위치가 조금씩 다를 뿐 거의 같습니다.

먼저,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회원 가입을 합니다.
회원 가입은 아이 기준이 아닌 회원 가입하시는 본인 기준으로 가입해 주세요.
신청할 때 자녀 조회하는 단계가 따로 있습니다.

엄마 아빠가 아닌 할아버지 할머니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 아이가 세대원으로 있는 세대주나 세대주의 배우자여야 하는 것 같더라고요.

부모가 이혼하고 자녀가 부모 중 한 명과 살고 있을 때 같이 살고 있지 않은 다른 한쪽 부모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아이문화패스 신청 버튼 2가지가 표시된 그림

전 세대주의 배우자니까 왼쪽의 버튼인 [세대주(또는 세대주의 배우자) 신청] 버튼을 클릭햇습니다.

회원가입할 때도 본인인증을 거쳐야 하고, 카드 신청을 할 때도 본인인증을 거쳐야 카드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요즘은 간편인증이 많이 보편화돼서 좋더라고요.

아이문화패스 신청 자격 확인 페이지가 표시된 그림
본인인증을 하고 나면 위와 같이 신청 자격 확인하는 곳이 있습니다.
[조회] 버튼을 클릭하면 가입하고 인증한 제 정보를 토대로 제 아이들이 조회가 되더라고요.

위의 이미지에서 회색 부분은 제 큰 아이입니다. 12년 생이라 올해로 중1이 되었고, 7~12세 신청 대상이 아니라고 뜨죠.
아래 흰색 바탕에 파란색 테두리가 있는 부분은 둘째 아이입니다. 16년 생이고 올해 초3이에요.
아이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뒷자리가 비워져 있으니 채워 넣고 [대상자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이제 카드 받을 주소만 더 확인하면 끝납니다.


울산 아이문화패스 사용처

사용처는 보통 문화, 체육, 예술 분야에 관련된 곳이면 사용할 수 있더라고요.

아이문화패스 사용처 찾기 위한 지도

공식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위와 같이 사용처를 검색해 볼 수 있는 지도가 있습니다.
지도상에 표시된 숫자가 사용 가능한 업체 개수고요.

그런데 대부분이 학원이더라고요. 미술학원이나 체육학원에서 결제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공방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문방구, 서점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요.

시립이나 국립 기관에서도 만약 문화예술, 체육과 관련된 분야면 결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울산 대공원에 있는 수영장이라면 시립이지만 아이문화패스를 이용해 입장권을 구매할 수 있다는 것이죠.

또한 CGV는 안 되지만 롯데시네마와 메가박스 영화티켓은 구매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스포츠웨어 판매점에서도 결제했다는 댓글도 더러 있었고요.

보드게임카페에서 결제할 수 있다면 좋을텐데 보드게임할 수 있는 곳은 아직 아이문화패스 사용처 신청을 안 해서인 건지 아직 없더라고요.

올해 처음 시작한 사업이기 때문에 앞으로 사용처도 더 많이 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