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라벌 공원 묘원은 경주에 위치한 공원 묘원입니다. 10년 전 아빠를 이곳에 모셨는데 매년 방문할 때마다 느끼는 거지만 꾸준히 관리 잘 되고 참 양지 바른 곳인 것 같습니다. 여러 안장 유형과 비용은 얼마인지, 공원 묘원 시설은 어떤지 알려드릴게요.
서라벌 공원묘원
서라벌 공원묘원은 경주라고는 했지만 사실상 경주 안에서도 건천읍이라는 외곽 지역에 있습니다. 울산에서는 차로 1시간 정도 걸리는 거리고 대구에서는 40분 정도 걸립니다.
서라벌 공원묘원은 경주시에서 위탁하여 비영리 재단에서 운영하는 곳입니다.
산의 남쪽면을 깎아 만든 공원이어서 그런지 굉장히 양지가 바른 곳이죠. 비가 오는 날을 제외하곤 4계절 어느 때 방문하더라도 해가 들어 포근하고 따뜻하더라고요. 고요하기도 하고 한적하기도 해서 안정적인 느낌도 드는 곳입니다.
서라벌 공원묘원 안장 형태 및 가격
잔디를 봉긋하게 올리는 봉분형, 유골을 목함에 넣어 땅에 평평하게 매장하고 그 위로 비석을 세우는 평장형, 석조물 안에 유골함을 넣는 봉안형이 있습니다. 그리고 옥외에 벽과 담 형태로 지어진 봉안담도 있습니다.
제가 이 글을 제 티스토리 블로그(현재 폐쇄)에도 2023년 올린 적이 있는데, 오늘 포스팅을 하면서 가격을 확인해 보니 2년 사이에 가격이 꽤 올랐네요. 저희 아빠를 모셨을 때는 350만원대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현재는 거의 900만원에 육박하더라고요. 일단 안장 형태에 따라 가격을 아래에 표로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구분 | 형태 | 넓이 | 가격(부가세 포함) | 비고 |
봉안묘 (석조물 안에 안치) | 일반형 봉안묘 | 1.5평(5㎡) | 774만 4500원 | 부부 안장 |
고급형 봉안묘 | 1.5평(5㎡) | 889만 4500원 | 부부 안장 | |
최고급형 봉안묘 | 1.5평(5㎡) | 1034만 4500원 | 부부 안장 | |
평장묘 (땅에 안치, 위에 비석) | 경제형 평장묘 | 0.5평(1.65㎡) | 282만 9000원 | 개인 안장 |
일반형 평장묘 | 1평(3.3㎡) | 530만 9000원 | 개인 안장 | |
1.5평(5㎡) | 802만 6500원 | 부부 안장 | ||
고급형 평장묘 | 1.5평(5㎡) | 912만 6500원 | 부부 안장 | |
고급 예술형 평장묘 | 1.5평(5㎡) | 1036만 2500원 | 부부 안장 | |
가족형 평장묘 | 안장 인원별 상이, 4~8인 가족 안장 | |||
매장묘 (전통 방식) | 일반형 매장묘 | 3평(9.9㎡) | 1256만 5000원 | 개인 안장 |
6평(19.8㎡) | 별도 문의 | 부부 안장 | ||
고급형 매장묘 | 3평(9.9㎡) | 1501만 5000원 | 개인 안장 | |
6평(19.8㎡) | 별도 문의 | 부부 안장 | ||
최고급형 매장묘 | 3평(9.9㎡) | 2466만 5000원 | 개인 안장 | |
6평(19.8㎡) | 별도 문의 | 부부 안장 | ||
옥외 봉안당 | - | - | 216만 원 | - |
옥외 봉안담 | - | - | 154만 원 | - |
서라벌공원묘원 사이트에서 안장 형태별 자세한 사진을 보실 수 있습니다.
서라벌 공원묘원은 공원이라서 야외로 되어 있고, 실내 봉안당은 이름이 하늘마루입니다. 서라벌 공원묘원도, 하늘마루도 경주시 위탁으로 하늘마루에서 운영하는 곳입니다.
위에 안내해 드린 사이트에 들어가시면 하늘마루의 실내 봉안당 사용 요금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3년만 해도 수목장 형태도 있었는데 안내 페이지에 수목장 가격 안내가 없는 걸 보니 더 이상 수목장 형태는 운영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서라벌 공원묘원 시설
입구에는 석상으로 된 장승이 양쪽에 있고 그 뒤로 십이지신 석상이 줄지어 서 있습니다.
이 석상들을 지나가면 넓은 야외 주차장이 나옵니다.
위 사진은 야외 주차장에서 관리사무소를 보고 찍은 사진입니다.
계약을 하거나, 비석에 이름을 추가로 새겨야 한다거나 기타 문의가 있을 경우 사진 속 건물의 2층으로 올라가시면 됩니다.
물론 비석에 이름을 추가로 새기기 위해 꼭 방문할 필요는 없었습니다. 전화로 문의한 뒤 추가할 이름을 문자로 알려드리면 이름 추가 각인 비용을 문자로 알려주시고, 계좌 이체를 하고 나면 추가된 모습을 사진 찍어 보내주시더라고요.
여자화장실에 아무도 없을 때 찍었습니다.
관리사무소 아래쪽으로 작은 옥외 화장실이 있는데, 10년 전에 처음 갔을 때는 을씨년스런 분위기인데다 화장지도 없고, 비누도 없고, 세면대 물도 나오지 않아 손도 못 씻고 나왔었는데 매년 방문할 때마다 조금씩 개선되더라고요.
이제는 세면대도 두 곳 모두 제대로 물이 나오고, 비누와 화장지도 있습니다. 변기도 양변기로 많이 바뀌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널따란 주차장을 사이에 두고 화장실 맞은 편에는 위 사진 속 작은 매점이 있습니다.
이 역시 예전엔 슬레이트 지붕으로 위 사진 건물의 두 배 길이에 달하는 지저분한 건물이었는데 새로 단장해서 깔끔해졌습니다.
헌화할 조화를 팔고 있는데 가격은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여전히 5천원에서 1만원 사이입니다.
커피와 물 정도를 판매하고 있고 예전엔 컵라면도 팔았는데 요즘은 안 보이더라고요.
항상 명절 피해서 다녀왔는데, 그동안 딱 한 번 명절에 산소에 다녀온 적이 있었습니다.
그땐 매점 옆으로 핫도그, 핫바, 번데기 등 다양한 주전부리 노점상들이 줄지어 있어서 생경한 장면이라 신기하더라고요. 코로나 전이었는데 요즘도 명절에 그렇게 판매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